
SKT, 블랙웰 GPU 1,000장으로 만든 AI 슈퍼클러스터 '해인' 공개
국내 최대 규모 초거대 AI 인프라의 탄생
한국판 초거대 AI 클러스터, 드디어 가동되다
SK텔레콤이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블랙웰(B100)' 1,000장을 탑재한 국내 최대 규모의 AI 슈퍼컴퓨팅 클러스터 ‘해인(海印)’을 공식 공개했다. 해인은 단순한 슈퍼컴퓨터가 아니다. 초거대 언어모델(LLM), 생성형 AI 서비스, 인프라의 독립성을 모두 고려해 설계된 국산 AI 자립 생태계의 심장이다.
1. 슈퍼클러스터 '해인'이란 무엇인가?
1). 블랙웰 GPU 1,000장, 그 의미는?
SKT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GPU인 블랙웰(B100) 1,000장을 클러스터에 투입했다.
이 GPU는 기존 H100 대비 최대 4배의 AI 연산 효율을 자랑하는 신형으로, AI 훈련과 추론을 동시에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1초에 30억 장의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연산 능력
클러스터 해인은 이 GPU를 통해 초당 20엑사플롭스(ExaFLOPS) 이상의 연산이 가능하며,
이는 전 세계 상위권 슈퍼컴 수준에 준한다.
20엑사플롭스 : 1초에 100경번의 부동소수점 연산을 수행
2). 이름 '해인(海印)'의 뜻
‘해인’은 불경을 새긴 해인사 팔만대장경에서 따온 이름이다.
모든 지식과 진리를 담고 있는 저장소처럼, AI가 수많은 데이터를 통해 지혜를 도출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2. 왜 SKT는 AI 클러스터를 직접 만들었을까?
1). 생성형 AI 독립을 위한 포석
SKT는 LLM 기반 에이닷(A.) 및 기업용 AI 등을 개발하면서 해외 클라우드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하지만 비용 부담과 보안 문제, 인프라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자체 클러스터 확보가 필요했던 것이다.
SKT 해인은 단순한 계산 자원이 아니라, AI 주권의 출발점이다.
2) 국내 AI 생태계에 개방
SKT는 해인 클러스터를 단독으로 쓰지 않는다.
카이스트, 포항공대, 고려대 등 주요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추진 중이며, 중소 AI 기업에도 클러스터 일부를 개방할 계획이다.
이는 K-LLM 생태계 확산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3. 해인의 기술적 특징
1). 엔비디아와 공동 설계
해인은 SKT 단독이 아닌, 엔비디아와 공동 설계로 완성됐다.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스택, AI 모델 최적화까지 긴밀하게 협력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쿠다(CUDA), 트리톤(Triton), 엔비디아 스펙트럼(Spectrum-X) 네트워크를 통합 적용해 병렬처리 및 통신 효율을 극대화했다.
2) 고효율 냉각 시스템 도입
블랙웰 GPU는 고성능인 만큼 고발열 장비다.
SKT는 이를 위해 액침 냉각 방식을 도입해 안정적인 가동 환경을 조성했다.
1,000장의 GPU가 쉬지 않고 돌아가도, 24시간 온도는 일정하다
4. 해인이 바꿀 미래는?
1). 에이닷(A.)의 두뇌가 진화한다
SKT는 이미 자사 AI 서비스인 에이닷(A.)을 통해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해인의 가동으로 더욱 고도화된 자연어 응답, 멀티모달 처리, 상황 인지형 AI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2). B2B AI 사업 본격화
해인은 기업용 LLM, 고객 응대용 챗봇, 문서 요약, 영상 분석 등 다양한 B2B AI 서비스에 핵심 인프라로 활용된다.
이는 SKT의 통신 사업을 넘어 AI 사업자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포인트다.
5. '국산 AI 주권' 시대의 상징
해인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공개가 아니다.
이는 한국형 AI 주권 확보의 상징적 선언이며, 생성형 AI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한국은 지금까지 하드웨어, 반도체, 통신에서 강자였지만, AI 인프라 구축에서는 늦은 편이었다. 해인은 이 흐름을 바꾸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결론 - 해인은 시작일 뿐이다
SKT는 앞으로 블랙웰 GPU를 더 확장해 3,000장 규모의 클러스터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LLM 모델 성능 향상은 물론, 멀티모달·에이전트형 AI까지 사업 확장을 예고하고 있다.
‘해인’은 그 이름처럼, 모든 지식의 바다를 품은 AI의 심장이 될 수 있을까?
이제 한국도 진짜 AI 주도국 반열에 도전하고 있다.
'디지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카카오톡 이제 AI 도입 - 국민 메신저의 진화 (0) | 2025.08.07 |
|---|---|
|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 V3와 V4 차이점 총정리 (0) | 2025.08.06 |
| SKT 에이닷 4.0 출시 기능 정리 - 서비스 확장 및 지능화 (0) | 2025.08.04 |
| 관리비도 이제 전자 고지서 도입 - 사용법 정리(아파트아이) (0) | 2025.07.31 |
| OpenAI AI 브라우저 아우라 개발 - 출시일과 기능 정리 (0) | 2025.07.29 |